만약 원격 브랜치인 main이 아니라 로컬 브랜치인 master로 설정되어 있다면, default 브랜치명을 main으로 변경해 주기 위해 git branch -M main명령어를 입력한다. (해당 포스팅에서 얘기한 데로 진행했다면 main브랜치로 되어있을 것이다. main 브랜치로 되어있다면 5번은 건너뛰기)
git push -u origin main 명령어를 입력하면 저장소에 create-react-app이 올라간 걸 확인할 수 있다.
github 저장소에 배포하기
gh-pages란 gitnub pages에 업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패키지다. 터미널에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 설치한다. (설치가 완료되면 package.json에서 확인할 수 있다.)
npm install gh-pages --save-dev
package.json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이 파일을 수정한다. 현재 레포지토리의 이름을 확인하려면 git remote -v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. "homepage": "https://(깃헙아이디).github.io/(저장소명)"
아래 문구 그대로 추가( build 디렉터리를 배포하기 위한 설정) "predeploy":"npm run build", "deploy":"gh-pages -d build"
프로젝트 배포: npm run deploy 해당 명령어는 빌드가 완료된 후, package.json 파일에 정의된 스크립트를 실행한다. (predeploy 스크립트는 deploy 스크립트가 실행되기 전에 자동으로 실행되며, 프로젝트를 빌드한다. gh-pages -d build는 build 디렉터리의 내용을 gh-pages 브랜치로 배포한다.) 이 과정을 통해 gh-pages 브랜치에 빌드된 파일이 배포되고, GitHub Pages에서 호스팅 된다. 배포된 사이트는 https://(깃헙아이디).github.io/(저장소명) URL에서 확인할 수 있다.
URL로 접속해 페이지가 뜨는지 확인할 경우 3분에서 10분 정도 소요되니 조급해하지 말자:)